제태크 스터디

코로나 후유증/ 코로나19 후유증 증상/ 코로나 완치 후유증 본문

기타 정보/건강 정보와 리뷰

코로나 후유증/ 코로나19 후유증 증상/ 코로나 완치 후유증

석우신 2020. 9. 15. 14:20

코로나 후유증

 

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은 뒤에도 예상치못한 후유증을 겪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. 코로나 후유증이 정말 생각보다 많은데요. 단순히 감기처럼 앓고 지나가겠거니 하고 가볍게 여기시면 큰코다치실 거 같습니다.

 


1. 탈모 - 조사에 따르면 바이러스에서 회복된 사람 가운데 약 27%가 탈모를 경험했다. 두피 외에도 눈썹 등 다른 부위 탈모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.

2. 고열 - 38도 이상의 고열이 회복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.

3. 설사 - 지난 6월, 미국은 코로나 증상 목록에 설사를 공식 추가했다. 6개로 분류된 코로나 증상 범주 가운데 두 집단에서 설사 증상이 나타났고 완치 판정을 받은 뒤에도 이어졌다. 설사는 건강을 쇠약하게 하고, 완치 후에도 직장으로 복귀하기 어렵게 만든다.

4. 탈진 - 코로나19 이후 탈진과 피로 증상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늘어났다. 탈진으로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호소하는 완치자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.

5. 흉통 - 코로나19는 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흉통을 겪기 쉽다.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은 계단을 오르거나 걸어갈 때 가슴에 통증을 경험했다고 밝혔다.

6. 불면증 - 장기간의 병을 앓은 뒤 직장으로 복귀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 사례가 많다. 전염병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직장에 대한 스트레스로 불면증을 겪는 완치자가 늘어나고 있다.

7. 환각 -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거나 냄새를 맡거나 맛을 느끼는 경우를 통칭한다. 이는 종종 약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.

 

8. 코로나 발가락 - 발가락이 붉게 부어오르며 자주색 병변이 생긴다. 주로 코로나19에 감염된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며 의사들은 염증의 일종으로 보고 있다.

9. 오한 - 별다른 이유 없이 추운 오한은 열과 함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.

10. 방향 감각 상실 - 섬망, 혼란, 불안으로 인해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다. 특히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 종종 'ICU 섬망(ICU delirium)'이라는 급성 뇌 질환이 보고된다.

11. 인지기능 저하 - 기억상실과 이해 부족 등 인지 기능 저하가 나타난다. 전문가들은 뇌 조직의 직접적인 바이러스
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. 이는 환자를 쇠약하게 만들고 직장 복귀를 어렵게 만든다.

12. 호흡곤란 - 코로나19 환자들은 대부분 호흡 곤란을 겪는다. 그러나 회복된 뒤에도 폐에 장기적인 손상을 입어 호흡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.

13. 근육통/몸살 - 체육관에서 격렬한 운동을 했을 때와 같은 근육통과 몸살이 발생할 수 있다. 장기간 코로나19로 고통받았던 일부 완치자의 경우 계속되는 통증으로 의자에서 일어나는 간단한 동작조차 힘겨워한다. 바이러스 감염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면서 일어나는 신체 반응이다.

 

14. 빈맥 - 부정맥으로 인해 심장 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빨리 뛰는 증상을 뜻한다.

15. 오심/구토 - 전체 환자 가운데 약 5%가 오심과 구토를 경험한다고 밝혔다. 드물지만 완치 후에도 구토나 오심 증세가 계속되는 경우가 발견됐다.

16. 부정맥- 장기 발병으로 심박 수 문제가 나타나는 사례도 있다. 코로나19를 앓은 뒤 심장이 약해져 심박이 너무 빠르게 뛰거나 혹은 느리게 뛸 수 있다.

 

 

코로나 완치 후에도 이러한 코로나 후유증을 달고 살게 되네요. 이런 증상을 겪지 않을려면 예방만이 답인 것 같습니다. 예방수칙 한번 더 일깨워 드리면서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코로나19 전염을 막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손을 자주 씻으세요. 비누와 물 또는 알코올 성분의 손 세정제를 사용하세요.
  • 기침 또는 재채기하는 사람으로부터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세요.
  • 물리적 거리두기가 불가능할 땐 마스크를 쓰세요.
  • 눈, 코,입을 만지지 마세요.
  •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는 화장지를 이용하거나 팔꿈치를 구부려 코와 입을 가리세요.
  • 몸이 좋지 않다면 집에서 쉬세요.
  • 열, 기침, 호흡 곤란 증상이 있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 

마스크

 

마스크를 쓰면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단, 마스크만으로는 코로나19 감염을 막을 수 없으며 물리적 거리두기와 손 위생 유지를 병행해야 합니다. 현지 보건 당국의 지시를 따르세요.

Comments